테스트 커버리지 유닛 테스트를 진행하다 보면 어떤 부분이 테스트되고 어떤 부분이 테스트되지 않는지 궁금할 수 있다. jest의 기능중에 전체 코드 중에 테스트되고 있는 코드의 비율과 테스트되고 있지 않은 코드의 위치를 알려주는 jest의 기능이 있다. 이를 커버리지(coverage) 라고한다. "scripts": { "start": "nodemon app", "test": "jest", "coverage": "jest --coverage" }, 스크립트를 작성하자. 그리고 실행해보자. npm run coverage File은 파일, 폴더 이름, %Stmts는 구문 비율, %Branch는 if문 등의 분기점 비율, %Funcs는 함수 비율, %Lines는 코드 비율, Uncovered Line #s는 커버..
테스트 준비 NodeBird 서비스에 테스팅을 적용해보자. 실제 서비스를 개발 완료한 후, 개발자나 QA들은 자신이 만든 서비스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테스트해본다. 이때 기능이 많다면 일일이 수작업으로 테스트하기에는 작업량이 너무 많다. 이런 경우 테스트를 자동화하여 프로그램이 프로그램을 테스트하도록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아무리 테스트를 철저하게 해도 에러를 완전히 막는 것은 불가능하다. NodeBird 프로젝트에 jest 패키지를 설치하자. npm i -D jest package.json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자. "scripts": { "start": "nodemon app", "test": "jest" }, routes 폴더 안에 middlewares.test.js를 만들자. 테스트용 파일은 파일명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