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 Flow 자바와 유사하지만 또 다른 부분도 많다. 프로그래밍에서 흐름 제어만 잘해도 웬만한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if-else var max = a if(a b){ max = a }else{ max = b } 자바와 거의 유사하다. 하지만 이를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Kotlin에서만 가능하다. val max = if(a > b) a else b if식의 경우에는 반드시 else를 동반해야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branches들은 블록을 가질 수 있고 블록의 마지막 구문이 반환 값이 된다. val max = if(a > b){ print("Choose a") a }else{ print("Choose b") ..
while
조건문 조건문은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분기를 결정해야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말 그대로 조건을 체크한 뒤, 어느 코드를 실행할지 결정하는 문법이다. 파이썬은 들여쓰기로 코드 블록을 구분하기 때문에 유의해서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기본적인 if문 구조이다. if 뒤에 조건을 적고 ':' 로 코드 블록의 시작을 알린다. else문도 마찬가지 이다. if~else문의 간단한 예시이다. print('수를 입력하세요 : ') a = int(input()) if a == 0 : print('0은 나눗셈에 이용할 수 없습니다.') else : print('3 /', a, '=', 3/a) 조건에는 ==같은 조건도 가능하지만, 부등호를 사용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조건 또한 사용 가능하다. 그 외에도 데이터 타입이나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