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불러오기
Tableau를 통해 데이터 시각화를 해보자.
그러려면 데이터를 우선 불러와야 한다. excel파일로 갖고 있는 데이터도 있을 것이고 server에서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차근차근 데이터를 불러와 보자.

Tableau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샘플이 있다. 왼쪽 아래에 보면 '저장된 데이터 원본'이라는 문구를 볼 수 있다.
그 아래에 나오는 데이터들이 기본 샘플이다. 아무거나 하나 눌러보자.

데이터를 준비하는 창을 건너띄고 바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왼쪽 태블로 마크를 누르면 다시 데이터를 로드할 수 있는 창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샘플들 말고도 txt, json 등 여러 파일 형태를 지원한다.
원본이 아닌 xls 파일이나 다른 파일들을 선탯하면 데이터를 준비하는 창을 볼 수 있다.

자신이 원하는 테이블을 끌고와 준비할 수 있다.
Local에 갖고있지 않아도 server에서 load 할 수 있다.
데이터 준비하기

Superstore 데이터셋을 로드하여 데이터를 준비해 보자.
여기서 주문과 인력, 주문과 반품이 관계가 있고 inner join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불러오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 주문 테이블을 끌어 올린다.
- 주문 테이블을 더블 클릭
- 원하는 테이블을 끌어다가 관계 설정

inner join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설정하여 load 했다. 하지만 중복된 열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나만 표시하기 위해서는 숨기기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우측 상단에 라이브와 추출 버튼이 보인다. 둘이 무엇이 다를까?
- 라이브: DB에 직접 쿼리를 날려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 - 처리 속도가 오래 걸릴 수 있음, 업데이트는 자동
- 추출: DB를 스캔을 하여 로컬에 저장 - 빠른 처리 가능, 느린 업데이트
필터는 데이터에 대한 조건을 걸어 원하는 데이터만 load 할 수 있는 기능이다.

데이터 불러오기
Tableau를 통해 데이터 시각화를 해보자.
그러려면 데이터를 우선 불러와야 한다. excel파일로 갖고 있는 데이터도 있을 것이고 server에서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차근차근 데이터를 불러와 보자.

Tableau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샘플이 있다. 왼쪽 아래에 보면 '저장된 데이터 원본'이라는 문구를 볼 수 있다.
그 아래에 나오는 데이터들이 기본 샘플이다. 아무거나 하나 눌러보자.

데이터를 준비하는 창을 건너띄고 바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왼쪽 태블로 마크를 누르면 다시 데이터를 로드할 수 있는 창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샘플들 말고도 txt, json 등 여러 파일 형태를 지원한다.
원본이 아닌 xls 파일이나 다른 파일들을 선탯하면 데이터를 준비하는 창을 볼 수 있다.

자신이 원하는 테이블을 끌고와 준비할 수 있다.
Local에 갖고있지 않아도 server에서 load 할 수 있다.
데이터 준비하기

Superstore 데이터셋을 로드하여 데이터를 준비해 보자.
여기서 주문과 인력, 주문과 반품이 관계가 있고 inner join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불러오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 주문 테이블을 끌어 올린다.
- 주문 테이블을 더블 클릭
- 원하는 테이블을 끌어다가 관계 설정

inner join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설정하여 load 했다. 하지만 중복된 열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나만 표시하기 위해서는 숨기기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우측 상단에 라이브와 추출 버튼이 보인다. 둘이 무엇이 다를까?
- 라이브: DB에 직접 쿼리를 날려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 - 처리 속도가 오래 걸릴 수 있음, 업데이트는 자동
- 추출: DB를 스캔을 하여 로컬에 저장 - 빠른 처리 가능, 느린 업데이트
필터는 데이터에 대한 조건을 걸어 원하는 데이터만 load 할 수 있는 기능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