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 차트
비율을 나타내는 차트 중 대표적인 차트이다.
동그란 그래프를 비율별로 나누어 가지게 된다.

이 그래프를 좀 더 보기 좋게 바꿔보자.

구성 비율에 대한 그래프이기 때문에 전체 금액보다는 %로 표현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
또한 이런 그래프를 지역별로 보고 싶다면 왼쪽 지역 차원을 행이나 열로 끌어 당기면 된다

이 차트는 전체의 합이 100%가 된다.
누적이 아닌 각 지역별의 차트를 보는 게 좀 더 효과적일 것 같다.

특정 테이블 계산을 설정하면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눈에 잘 들어오지는 않는다. 이를 더 좋게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파이차트를 추천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대안이 비율 바 차트이다.
비율 바 차트

이와 같이 각도가 아닌 길이로 나타내는 비율 바 차트가 눈에 더욱 쉽게 들어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드는 법은 파이차트와 유사하다. 합계를 먼저 설정한 뒤 대분류를 색상으로 끌어다 놓으면 전체 데이터에 대한 비율 바 차트가 그려지는데 거기서 행 선반에 지역을 옮겨 놓은 뒤 퀵 테이블 계산을 설정하면 위와 같이 그릴 수 있다.
파이 차트
비율을 나타내는 차트 중 대표적인 차트이다.
동그란 그래프를 비율별로 나누어 가지게 된다.

이 그래프를 좀 더 보기 좋게 바꿔보자.

구성 비율에 대한 그래프이기 때문에 전체 금액보다는 %로 표현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
또한 이런 그래프를 지역별로 보고 싶다면 왼쪽 지역 차원을 행이나 열로 끌어 당기면 된다

이 차트는 전체의 합이 100%가 된다.
누적이 아닌 각 지역별의 차트를 보는 게 좀 더 효과적일 것 같다.

특정 테이블 계산을 설정하면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눈에 잘 들어오지는 않는다. 이를 더 좋게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파이차트를 추천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대안이 비율 바 차트이다.
비율 바 차트

이와 같이 각도가 아닌 길이로 나타내는 비율 바 차트가 눈에 더욱 쉽게 들어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드는 법은 파이차트와 유사하다. 합계를 먼저 설정한 뒤 대분류를 색상으로 끌어다 놓으면 전체 데이터에 대한 비율 바 차트가 그려지는데 거기서 행 선반에 지역을 옮겨 놓은 뒤 퀵 테이블 계산을 설정하면 위와 같이 그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