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이번 추석에도 시스템 장애가 없는 명절을 보내고 싶은 어피치는 서버를 증설해야 할지 고민이다. 장애 대비용 서버 증설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작년 추석 기간인 9월 15일 로그 데이터를 분석한 후 초당 최대 처리량을 계산해보기로 했다. 초당 최대 처리량은 요청의 응답 완료 여부에 관계없이 임의 시간부터 1초(=1,000밀리초)간 처리하는 요청의 최대 개수를 의미한다. 제한 사항 solution 함수에 전달되는 lines 배열은 N(1 ≦ N ≦ 2,000)개의 로그 문자열로 되어 있으며, 각 로그 문자열마다 요청에 대한 응답완료시간 S와 처리시간 T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다. 응답완료시간 S는 작년 추석인 2016년 9월 15일만 포함하여 고정 길이 2016-09-15 hh:mm:ss.sss 형..
C++
문제 설명 회사원 Demi는 가끔은 야근을 하는데요, 야근을 하면 야근 피로도가 쌓입니다. 야근 피로도는 야근을 시작한 시점에서 남은 일의 작업량을 제곱하여 더한 값입니다. Demi는 N시간 동안 야근 피로도를 최소화하도록 일할 겁니다.Demi가 1시간 동안 작업량 1만큼을 처리할 수 있다고 할 때, 퇴근까지 남은 N 시간과 각 일에 대한 작업량 works에 대해 야근 피로도를 최소화한 값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works는 길이 1 이상, 20,000 이하인 배열입니다. works의 원소는 5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n은 1,0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풀이 주어진 작업들을 n만큼 뺀 뒤 각 작업 소요일을 제곱한 값을 최소화하는 문제이다. n개의 수를 빼..
프로그래머스[Lv.3] - 최적의 행렬 곱셈 문제 설명 사칙연산에서 더하기(+)는 결합법칙이 성립하지만, 빼기(-)는 결합법칙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식 1 - 5 - 3은 연산 순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른 결과를 가집니다. ((1 - 5) - 3) = -7 (1 - (5 - 3)) = -1 위 예시와 같이 뺄셈은 연산 순서에 따라 그 결과가 바뀔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 식 1 - 3 + 5 - 8은 연산 순서에 따라 다음과 같이 5가지 결과가 나옵니다. (((1 - 3) + 5) - 8) = -5 ((1 - (3 + 5)) - 8) = -15 (1 - ((3 + 5) - 8)) = 1 (1 - (3 + (5 - 8))) = 1 ((1 - 3) + (5 - 8)) = -5 위와 같이 서로..
문제 설명 크기가 a by b인 행렬과 크기가 b by c 인 행렬이 있을 때, 두 행렬을 곱하기 위해서는 총 a x b x c 번 곱셈해야합니다. 예를 들어서 크기가 5 by 3인 행렬과 크기가 3 by 2인 행렬을 곱할때는 총 5 x 3 x 2 = 30번의 곱하기 연산을 해야 합니다. 행렬이 2개일 때는 연산 횟수가 일정 하지만, 행렬의 개수가 3개 이상일 때는 연산의 순서에 따라서 곱하기 연산의 횟수가 바뀔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크기가 5 by 3인 행렬 A, 크기가 3 by 10인 행렬 B, 크기가 10 by 6인 행렬 C가 있을 때, 순서대로 A와 B를 먼저 곱하고, 그 결과에 C를 곱하면 A와 B행렬을 곱할 때 150번을, AB 에 C를 곱할 때 300번을 연산을 해서 총 450번의 곱하..
문제 설명 카카오에서는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기 때문에 판교역에서 편하게 사무실로 올 수 있다. 카카오의 직원은 서로를 '크루'라고 부르는데, 아침마다 많은 크루들이 이 셔틀을 이용하여 출근한다. 이 문제에서는 편의를 위해 셔틀은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운행한다고 가정하자. 셔틀은 09:00부터 총 n회 t분 간격으로 역에 도착하며, 하나의 셔틀에는 최대 m명의 승객이 탈 수 있다. 셔틀은 도착했을 때 도착한 순간에 대기열에 선 크루까지 포함해서 대기 순서대로 태우고 바로 출발한다. 예를 들어 09:00에 도착한 셔틀은 자리가 있다면 09:00에 줄을 선 크루도 탈 수 있다. 일찍 나와서 셔틀을 기다리는 것이 귀찮았던 콘은, 일주일간의 집요한 관찰 끝에 어떤 크루가 몇 시에 셔틀 대기열에 도착하는지 알아냈..

문제 설명 전무로 승진한 라이언은 기분이 너무 좋아 프렌즈를 이끌고 특별 휴가를 가기로 했다. 내친김에 여행 계획까지 구상하던 라이언은 재미있는 게임을 생각해냈고 역시 전무로 승진할만한 인재라고 스스로에게 감탄했다. 라이언이 구상한(그리고 아마도 라이언만 즐거울만한) 게임은, 카카오 프렌즈를 두 팀으로 나누고, 각 팀이 같은 곳을 다른 순서로 방문하도록 해서 먼저 순회를 마친 팀이 승리하는 것이다. 그냥 지도를 주고 게임을 시작하면 재미가 덜해지므로, 라이언은 방문할 곳의 2차원 좌표 값을 구하고 각 장소를 이진트리의 노드가 되도록 구성한 후, 순회 방법을 힌트로 주어 각 팀이 스스로 경로를 찾도록 할 계획이다. 라이언은 아래와 같은 특별한 규칙으로 트리 노드들을 구성한다. 트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의 ..

문제 설명 포털 다음에서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을 넣고 싶은 라이언은 한 번 입력된 문자열을 학습해서 다음 입력 때 활용하고 싶어 졌다. 예를 들어, go 가 한 번 입력되었다면, 다음 사용자는 g 만 입력해도 go를 추천해주므로 o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진다! 단, 학습에 사용된 단어들 중 앞부분이 같은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다른 문자가 나올 때까지 입력을 해야 한다. 효과가 얼마나 좋을지 알고 싶은 라이언은 학습된 단어들을 찾을 때 몇 글자를 입력해야 하는지 궁금해졌다. 예를 들어, 학습된 단어들이 아래와 같을 때 go gone guild go를 찾을 때 go를 모두 입력해야 한다. gone을 찾을 때 gon 까지 입력해야 한다. (gon이 입력되기 전까지는 go 인지 gone인지 확신할 수 없다.) ..

UI연동 이전 포스팅에서 GE를 통해 Attribute에 영향을 주는 것까지 구현하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ttribute가 GE에 의해 변경되면 UI가 업데이트되도록 구현해 보자. 그러기 위해서는 Helath값을 나타내는 UserWidget을 생성하고 이를 캐릭터에 붙일 수 있게 WidgetComponent를 제작하여 진행할 것이다. UserWidget에서는 ASC로부터 Attribute가 변경될 때 Delegate를 받아 업데이트할 수 있게 구현할 예정이다. UserWidget & WidgetComponent 제작 캐릭터에 HpBar를 붙이기 위해 WidgetComponent가 필요하다. UserWidet에서는 Attribute가 변경될 때마다 업데이트되어야 하기 때문에 캐릭터의 ASC가 있어야 한..
문제 설명 개발팀 내에서 이벤트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무지"는 최근 진행된 카카오이모티콘 이벤트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당첨을 시도한 응모자들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런 응모자들을 따로 모아 불량 사용자라는 이름으로 목록을 만들어서 당첨 처리 시 제외하도록 이벤트 당첨자 담당자인 "프로도" 에게 전달하려고 합니다. 이 때 개인정보 보호을 위해 사용자 아이디 중 일부 문자를 '*' 문자로 가려서 전달했습니다. 가리고자 하는 문자 하나에 '*' 문자 하나를 사용하였고 아이디 당 최소 하나 이상의 '*' 문자를 사용하였습니다. "무지"와 "프로도"는 불량 사용자 목록에 매핑된 응모자 아이디를 제재 아이디 라고 부르기로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이벤트에 응모한 전체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다음과 같다면 응모자 아이디..
문제 설명 n개의 노드가 있는 그래프가 있습니다. 각 노드는 1부터 n까지 번호가 적혀있습니다. 1번 노드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노드의 갯수를 구하려고 합니다. 가장 멀리 떨어진 노드란 최단경로로 이동했을 때 간선의 개수가 가장 많은 노드들을 의미합니다. 노드의 개수 n, 간선에 대한 정보가 담긴 2차원 배열 vertex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1번 노드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노드가 몇 개인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노드의 개수 n은 2 이상 20,000 이하입니다. 간선은 양방향이며 총 1개 이상 50,000개 이하의 간선이 있습니다. vertex 배열 각 행 [a, b]는 a번 노드와 b번 노드 사이에 간선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풀이 레벨3 문제치고는..